지금 e 뉴스입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 키워드는 '불꽃뷰'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 토요일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는 '서울 세계 불꽃축제'가 열리는데요. <br /> <br />올해도 명당 구하기와 바가지 요금이 기승입니다. <br /> <br />매년 100만 명 넘게 몰리는 축제인 만큼 열기도 뜨거운데요. <br /> <br />중고 거래 사이트에서는 불꽃놀이가 잘 보이는 장소를 구한다는 글이 여럿 올라오기도 했고요. <br /> <br />15~20만 원에 불꽃 명당을 맡아주겠다는 '줄서기 알바' 글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가지 요금에 대한 지적, 올해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불꽃 축제가 잘 보이는 곳에 있는 여의도의 5성급 호텔의 가격을 찾아봤는데요. <br /> <br />축제 당일, 강이 보이는 가장 큰 객실 가격이 300만 원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평소 주말 가격이 100만 원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3배 정도 비싼 건데요. <br /> <br />조금 떨어진 지역의 호텔들도 100만 원이 넘는 가격에 불꽃뷰 객실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아무리 성수기라고 해도 정도가 지나치다는 지적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키워드는 '듀프'입니다. <br /> <br />요즘 글로벌 Z세대 사이에서는 듀프 소비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듀프'는 '복제품'을 뜻하는 영어 '듀플리케이션'의 줄임말인데요 <br /> <br />비싼 브랜드 제품의 저렴한 복제품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유명 상품을 본떠 만들어 품질도 비슷하고 값은 더 저렴한 대안 제품인데, 명품을 상표까지 베낀 불법 모조품, '짝퉁'과는 다른 개념입니다. <br /> <br />고물가와 경기침체가 새로운 소비 성향을 만들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듀프 소비는 90년대 중반에서 2010년 초반에 태어난 Z세대 사이에서 특히 유행입니다. <br /> <br />Z세대는 저렴한 복제품을 사고 자신의 SNS에 올려 자랑하는 과정까지 듀프 소비의 일부로 여겨, 인스타그램에 듀프를 검색하면 많은 게시물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Z세대의 절반 정도가 일부러 듀프 제품을 사본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키워드는 '홍콩 용오름'입니다. <br /> <br />고층 빌딩이 빽빽한 홍콩 앞바다에서 용오름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다 한가운데, 용이 승천하는 듯 거대한 물기둥이 하늘로 솟구칩니다 <br /> <br />바다 주변에는 고층 건물이 빽빽하게 늘어서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지 시간 28일 홍콩 빅토리아 항에서 바다의 토네이도라고 불리는 용오름이 포착된 건데요. <br /> <br />용오름은 지표면에 부는 바람과 상공의 바람의 방향이 다를 때 발생하는 기류 현상인데요. <br /> <br />빅토리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3010283343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